" 사생활의 역사 " 1 권 ( 로마 제국부터 천 년까지 ) 를 읽다가 도저히 어려워서 더 이상 못 읽겠다. 재미가 없는 건 아닌데, 이건 결코 일반인이 그냥 읽을 만한 수준의 책이 아니다. 좀 여유를 가질 수 있는 20 대 초, 중반의 시절이었다면 재미를 위해 시간을 투자해가며 부족한 인문교양을 채워가며 읽을 수 있었겠지만, 지금의 현실에서는 엄두가 나질 않는다.

일단 1권의 1부인 " 로마 제국 " 까지 읽고 일단락 짓기로 결정했다. 1권은 1부 로마제국 ( 폴 벤느 ), 2부 후기 고대 ( 피터 브라운 ), 3부 로마 제국 시대 아프리카 지역의 사생활과 가옥 구조 ( 이봉 테베르 ), 4부 서방의 중세 초기 ( 미셀 루슈 ), 5부 비잔틴 제국 10 ~ 11 세기 ( 에블린 파틀라장 )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을 읽기 어려웠던 점을 좀 구체적으로 기록해 두고 다시 읽을 여유가 생겼을 때 참고해야겠다. 

주요 저자들이 프랑스 쪽이거나 유럽 쪽 인물들이고, 많은 철학, 인문학적인 내공을 쌓고 있어 어려운 사조나 낱말들이 곧잘 등장한다. 프랑스 앙시앵 레짐란 단어는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ㅡㅡ;; 게다가 웬놈의 계급 갈등과 스토아 철학 - 그래도 이 단어는 들어봤다. -, 무슨무슨 철학사조가 나오는데, 모르면 유머나 문맥을 따라잡기 어려웠다. 그리스 철학 사조에 대해서는 언젠가 읽고자 했는데, 하루바삐 읽어둬야겠다. 경제학, 맑시즘 등등에 대해서도 간략하게나마 읽은 후에 다시 도전해 볼 일이다.


다시 읽을 기회가 생겼을 때를 대비해 이 책의 좋았던 점도 기록해 둔다.

이 책을 잡을 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언제나 확 깬다. 기존의 역사학이 아니라 완전 새로운 시각에서 사람이라는 동물을 중심으로 역사적 유물들을 토대로 저자가 분석한 내용들을 주장해 간다. " 눈을 위한 화려한 축제 " 라는 광고카피에 걸맞게 아주 재밌고 역사적인 사진들이 많이 나온다. 기존의 역사관련서적들이 보여주는 훌륭한 건축, 인물, 장면들 못지 않게 서민들의 모습, 생활상이 담긴 석관, 장사하는 가게의 모습 등등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진솔한 삶의 모습을 사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친절하게 설명을 덧붙이는 것도 잊지 않는다. ( 가끔 므훗한 그림도 나온다. ^^;; )


2부인 후기 고대 부터 기독교의 영향을 받기 시작하는 모양이다. 즉, 1부의 사생활들은 전혀 기독교의 영향을 받지않고 순수하게 로마적이거나 그리스적인 모습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시오노 나나미가 " 로마인 이야기 " 에서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던 로마의 제국적인 모습을 폴 벤느는 모두 풀어헤쳐 마당에 펼쳐놓는다. 폴 벤느는 시오노 나나미와 달리 로마가 결코 법치국가가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폴 벤느의 경우, 로마가 법의 어머니적인 존재인 건 맞지만, 실생활에서는 오늘날의 법치국가처럼 사회가 동작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사회적은 차별받는 계급이나 인물은 결코 법적인 호소가 도움이 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이 당시의 법체계라는 것이 우리의 막역한 상상과 얼마나 달랐는지 보여준다. 재밌는 건 고소, 고발 등의 법적인 사건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우, 더 많은 대중을 모으려 했고, 모인 사람들의 반응이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하는데 이게 바로 배심원 제도의 모태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출생, 결혼, 노예 ( 해방 노예 ), 뇌물, 체면, 일, 여가, 세습 재산, 여론, 즐거움, 마음의 안정 등등 챕터별 제목만 봐도 이 책의 시선이 어디서부터 어디로 향해 있는지 알 수 있다. 실제 각 챕터들을 읽으면서 감탄이나 신선한 느낌을 받을 때가 많았는데, ( 물론 읽을 당시 머리가 맑았을 때 얘기다 ) 모아서 정리해두겠다고 넘어간 게 아쉽다. 이 책을 두 번이나 읽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다시 읽게 된다면 바로바로 기록해둬야겠다.

261 쪽의 중간쯤을 보면 " 샤리바리 (charivaris ) " 라는 단어가 나온다. 공동체 대중이 마음에 들지 않는 행위를 한 개인에게 소란스러운 행동으로 압력을 가하는 것을 말한다고 한다. 어딘가 써먹을 데가 있을 법한 단어다. 오늘날 야구 스포츠 세계에서 많이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본다. ( 옛날부터 그랬어~ )

끝으로 유언과 무덤에 관한 부분이 많이 여운을 남긴다. 로마 시대에는 유언이 상당이 큰 의미를 가졌다는 데, 되새겨 볼 만 하다. 무덤에 비명을 새기는 일은 1 세기에서 3 세기까지 유행했다고 한다. 복고풍이 다시 불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다.

이 거대한 번역 작업을 한 분들에게 존경을 표한다. 읽기도 버거운 책을 되도록이면 읽기 쉽도록 번역하느라 보낸 시간과 역량을 떠올려 보면 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죄송하지만 다 읽지 못하더라도 서운해 하지 않으셨으면 한다. 이 책은 보통 사람이 읽으려 도전한다면 작은 피라미드를 하나 쌓는다는 각오로 임해야 할 것 같다. 하나라도 돌이 빠지면 전혀 감도 못잡겠다.

WRITTEN BY
리컨
영화를 즐기는 취미를 기록한 블로그입니다.

,




전 5 권으로 구성되어 로마시대로부터 시작해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기록으로 찾아볼 수 있는 시민들의 사생활을 최대한 모아 보여주는 책이다.

오래 전부터 소재가 재미있어 보여 읽고 싶어하긴 했는데, 막상 살펴보니 이건 재밌는 책읽기가 아니라 진득하니 앉아 곰인형 단추꾀는 수준으로 보인다. 각 권이 모두 900 여쪽에 그림이 많지만, 글도 가득하다.

지금까지 100 여쪽 남짓을 읽고도 상당한 충격과 느낌을 정리하기 쉽지 않아 일단 기록해 둔다.

저자들의 서문을 보면 국가의 발전과 강화된 체제 속에서 인간의 본질을 보전하고자 노력하려는 의도로 이 책을 썼다고 한다. ( 이게 가장 근본적인 주제로 보여진다. ) 그러면서 개인의 사생활들의 변화가 어떻게 사회상의 변화를 이끌어냈는지 보여주고, 재조명해주는 내용으로 예상되는데, 첫장부터 아주 확 깬다.

사생활의역사1
카테고리 역사/문화 > 서양사
지은이 필립 아리에스 외 (새물결, 2002년)
상세보기



" 로마인 이야기 " 와 그에 관련된 책들을 보며 그 시대 사람들에 대해 잘 이해가 가지 않았던 사람들이라면 " 사생활의 역사 " 1 권 ( 로마제국부터 천년까지 ) 을 한번쯤 읽어보길 권해본다.

로마시대에 가정이라는 것이 실제 어떠했는지 보여주는데, 오늘날의 가치관으로는 참 받아들이기 힘든 모습들이 당연시 되는 시대가 있었음을 인정하기가 쉽지 않다. 사실 " 로마인 이야기 " 는 마치 영화 " 대부 " 가 그러했던 것처럼 " 로마 " 라는 제국을 미화시켰다고 인정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목차들조차 너무나 도전적인데, " 기를 것인가 버릴 것인가 ", " 아버지 죽이기 ", " 부부의 거짓 탄생 " 등등.. 뭔가 계도적이라기 보다 진실에 대한 도발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아이를 낳고 필요하면 살리고, 아니면 죽이는 행태가 일반적이던 시대, 아버지 혹은 가부장의 존재가 정말 가정 안의 최고지도자이던 시대를 우리에게 알려준다.

저자들의 의도를 끊임없이 다시 탐문하게 되는 책이다. 국가의 감시, 개입 혹은 지배로부터 인간의 본질을 보존하려는 노력이라는 것이 왜 오늘날의 상식으로는 받아들이기 힘든 고대의 얘기들로부터 시작하는가를 이해하는 게 쉽지 않다.

인간의 본질을 논하는 문제에 잘못 접근했다는 느낌이 드는 건 아니지만, " 보존 " 이라는 단어가 무지하게 껄끄럽게 느껴진다. 개인의 사생활과 사회의 변화 사이에 상호작용의 예를 들면서 계속 진행될 모양인데, 무사히 읽기라도 했으면 한다.

WRITTEN BY
리컨
영화를 즐기는 취미를 기록한 블로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