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진 스노우"라는 번안된 영화 제목과 거울에 비쳐지는 어머니와 딸의 모습이 담긴 포스터를 봤을 때는 백설공주(Snow White) 동화를 현대식으로 변형한 소녀의 성장담이 아닐까 짐작했다. 불행인지 다행인지는 몰라도, 엄마가 거울 속의 딸을 보면서 '거울아, 거울아, 세상에서 누가 제일 예쁘니?'하며 묻는 영화는 아니었다. 만일 그랬다면 관객들은 몹시 혼란스러웠을 거다. 에바 그린하고 쉐일린 우드 중에 누가 더 예쁜지 판단해야 하는 문제는 솔로몬왕에게 물어봐야 할 수준이다. (영화 속에서는 엄마와 딸로 나오지만, 두 배우의 실제 나이차이는 12살 밖에 나지 않는다.) 보기좋게 틀리긴 했지만, 덕분에 겸손한 마음으로 영화를 관람할 수 있었다. 

** 이하 영화 내용이 나옵니다. 

영화 포스터

출처 : DAUM 영화



버진 스노우(Virgin Snow)란 한번도 밟지 않은 하얀 눈들을 가리키는 단어라고 한다. 영화를 본 뒤에는 원래 영어 제목인 "White Bird in Blizzard"(눈폭풍 속의 하얀 새)가 더 어울릴 것 같은데, 어떤 이유에서인지 철모르는 수컷들은 여자 처녀를 떠올리기 쉬운 "버진 스노우"로 바뀌었다.

아마도 캣 코너(Kat Connor, 여자 주인공)가 과거를 회상하면서 남자와 첫경험을 한 뒤 엄마와 같은 성이 되었다는 장면에서 따온 것 같기도 하지만, 확신은 서지 않는다. 미혼 남자로써는 공감하기 어려운 얘기지만, 대사에서 풍겨오는 뉘앙스는 약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흥미로운 대사였다. 

영화는 딸이 여자가 되던 날, 엄마가 사라지면서 영화 속 드라마와 미스테리가 동시에 진행된다. 감독이 가장 대중적으로 만들었다는 데, 이전 작품들을 보지 못해 얼마나 대중화되었는지 모르겠지만, 엔딩까지 버티기만 한다면 적어도 노력했다는 걸 인정해 줄 만하다. 인내의 열매가 달지는 못해도 새콤한 정도는 된다.

다른 영화들 속에서도 뻔하게 봤던 설정과 스토리적인 트릭들임에도 교묘한 내러티브 덕분에 관객들이 눈치채기 어렵다. 평소 감독의 작품들을 봐왔던 열혈영화팬들이나 스릴러 장르에 특화된 관객들이라면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수준이긴 하지만, 영화 자체가 스릴러를 내세우고 있지 않으니 그냥 가볍게 즐긴다는 생각으로 메인 드라마를 따라가면 좋을 것 같다. 

이런 부분을 제외하면 소녀의 성장기 속에서 엄마의 부재가 가져오는 불안감을 표현하는 비교적 선명한 영화다. 이해할 수 없는 엄마, 이미 대화가 끊어진 엄마의 존재가 사라진 것을 여자로 성장하려는 딸은 인생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이려고 하지만, 실제 성인이 되었을 때는 그것이 결코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일이 아니었음을 인정하게 되면서 훌쩍 커버렸다는 걸 자각한다는 식의 결론에 도달한다. 그리고 엄마의 성을 가지게 된 소녀는 비로소 엄마를 그리워할 수 있게 된다.

영화 장면

출처 : DAUM 영화



불안감과 괴기스러운 기억들은 감독이 좋아한다는 데이비드 린치 감독의 "트윈 픽스" TV시리즈를 연상시키기도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냥 연극적인 연출에 더 가깝게 느껴졌다. 그럼에도 왠지 화면 속 배우들의 위치나 의도적인 배경들(굳이 말하자면 미쟝센들이라고나 할까)이 꽤 공들여 만들어졌고 높은 완성도를 가졌다고 보여진다. 

관람자가 성인 남성이라 그런지 - 여자들이 보기에 편협한 시선일 수 있겠지만 - 영화는 성장기 속 소녀가 엄청난 가능성을 지닌 신비로운 어린 여성이라기보다 철부지에 가깝게 느껴질 정도로 순수하면서도 외롭고 치기어린 청소년임을 알려주는 것으로 보인다.

영화 속 캣 코너는 자신의 주변에서 벌어나는 일상 속 알 수 없는 일들에 대해 쿨하고 주체적으로 판단하고 받아들였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눈폭풍같은 엄청난 일들이 벌어지는 하얀 벌판에서 그 의미나 진실을 외면한 채 스스로의 따스함만으로 눈 속에서 묻히는 하얀 새같은 존재였다는 걸 묘사한다. 그런 소녀를 일깨우는 건 스스로도 알 지 못하는 내면에서 가끔씩 보여주는 꿈들이었다. (우리나라에는 사주팔자가 있다. ^^;;) 

WRITTEN BY
리컨
영화를 즐기는 취미를 기록한 블로그입니다.

,






소년들이 커가는 얘기를 주제로 한 성장영화들은 대개 모범적인 사람들이 몇 있고, 주인공은 정신적, 육체적 난관들을 겪는 과정에서 그들과 유대를 갖고 세상을 이해해 나가다가 감동적인 깨달음을 얻게 된다. 이런 패턴을 벗어나 사회적인 법과 질서를 필요로 하지 않았던 소년과 그 형제들에 관한 폭력성 짙은 스토리가 펼쳐진다.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라고 소개했지만, 오히려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했다는 게 적절해 보인다. 원작소설인 "The Wettest County in the World" (2008) 을 영화 속 주인공 잭 본듀란의 손자인 맷 본듀란이 썼기 때문이다. 즉, 오래 전 실제 사건을 손자가 소설로 쓴 것이라 전체를 실화로 보기에는 무리가 좀 있다. 그럼에도 볼 만 하다. 




" 로우리스(lawless) " 의 재미는 톰 하디, 피가 넘치는 폭력 그리고 가족주의다. 
 


톰 하디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인기가 급상승 중일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 인셉션 " 에서 꽤 재미있는 배우가 하나 등장했구나 싶었는데, " 배트맨 : 다크라이즈 " 에서 " 베인 " 역을 소화내는 걸 보고 좀 놀랬다. 외모와 달리 귀여운(?) 목소리, 무뚝뚝한 태도에 가끔 재롱 떠는 모습이 매력인 듯 싶은데, " 로우리스 " 에서는 사실상 독무대다. 주인공은 잭 본듀란역인 샤이아 라보프임에도.. 

실제로 톰하디가 처음 캐스팅 됐을 때는 지금보다 역할이 중요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 배트맨 : 다크라이즈 " 가 흥행에 성공하면서 대폭 분량을 늘였다고 한다. 천만다행이 아닐까 싶다.

아쉬운 건 원래 포레스트 본듀란 ( 톰 하디 ) 이 좋아하는 여자역 ( 매기 ) 에 스칼렛 요한슨도 있었으나, 결국 제시카 차스테인이 맡게 됐다고 한다. 후자도 나쁘진 않았지만, 전자였다면 더 좋아졌을 수도 있지 않을까? ^^;; 


" 로우리스(lawless) " 의 폭력은 서부영화의 신고전 " 용서받지 못한 자 " 에서처럼 상당히 현실적(?)이다. 주인공들은 덩치만 커보이는 장총과 조막만한 권총을 쓰고, 차들은 비탈길을 어떻게 다니는지 용하기만 하다. 그에 반해 법을 집행하는 이들의 총은 상대적으로 좋아보인다. 여기서 폭력 - 액션이 아니다. - 은 남자가 맡은 일을 끝낼 줄 안다는 증명의 수단이며, 선혈이 낭자한 곳에서도 꿋꿋이 서 있을 수 있어야 하는 어른들의 세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장치다. 



" 로우리스(lawless) " 는 무법자나 무법을 뜻하는 outlaw, injustice 등등과는 뉘앙스가 좀 다르다. 영화에 등장하는 법은 별 의미가 없다. 악당이 연방법의 집행자라고 해도 법은 유리하게 동작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제목이 " lawless " 인 이유는 가족과 형제에게 필요한 건 법이 아니라 스스로 커가려는 의지라는 걸 보여주려는 게 아닐까 싶다. 소년의 교육을 공공적인 장치 - 법, 사회질서, 공공교육 등등 - 가 아니라 아버지, 형제가 몸소 보여줘야만 배우고 따라갈 수 있는 가족 안에서의 교육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진정한 가족이 되어가는 교육이야말로 오늘날 다시 되새겨 볼 만한 가치가 아닐까 싶다. 마초적 가족주의라 문제가 될 소지가 있긴 해도 너무 평범하고 올바르기만 한 설명은 이제 지겹다. ^^;; 

소년은 폭력을 동경하고, 성공을 꿈꾸면서 실수와 좌절을 겪지만, 아버지같은 형, 말없이 고뇌하는 형의 모습을 보면서 스스로 성장해 간다. 

WRITTEN BY
리컨
영화를 즐기는 취미를 기록한 블로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