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미의 땅" 관람이 끝난 뒤, 김동령, 박경태 감독과 대화의 시간이 있었는데, 흥미롭고 재밌는 얘기를 많이 들려주어 따로 기록해 둔다. ^^;; 

거미의_땅_포스터

출처 : DAUM



영화제목은 영어제목인 "Tour of Duty"가 먼저 결정된 후, 우리말 제목인 "거미의 땅"이 지어졌다고 한다. 영어제목은 기지촌 관련 자료를 인터넷을 검색하던 중 영어로 씌여진 댓글 중에 "Tour of Duty"를 발견하고 의미심장한 연상을 일으킬 것이라고 판단되어 선정했다고 한다.

우리말 제목은 영화에 출연하신 '바비엄마' 박묘연 할머니께서 평소 기지촌 사람들은 개미처럼 일하고, 거미처럼 사라져간다라고 하시는 말씀에서 따왔다고 한다.

'바비엄마' 박묘연 할머니와 박인순 할머니 그리고 안성자 할머니를 주인공들로 선정한 이유와 표현방식이 달랐던 이유에 대해서도 들을 수 있었다. 

할머니들을 다큐멘터리 영화에 출연시킬 때 감독들이 가장 우선시 했던 것은 영화가 상영된 이후에 받아야 할 주목이나 평가를 감당할 수 있는 역량이 있으신가 하는 점이었다고 한다. 

김동령, 박경태 감독은 여러 해동안 각자의 이유로 기지촌에서 활동했는데, 다행이 평소 자주 만나고 좋아하던 분들이 모두 그런 준비가 되어있다고 판단하여 상의드리고 출연을 결정했다고 한다. 

그 후, 할머니들의 성품에 따라 촬영의 성격도 다르게 적용시켰다고 한다. 감독들의 기본적인 의도는 공간을 찍기 위해 카메라를 땅에 지그시 고정시켜 안정감을 주는 것이었다고 한다. 박묘연, 박인순 할머니까지는 이 규칙이 적용되었으나, 안성자 할머니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움직임을 보여줬다. 

박묘연 할머니는 미디어에 대한 인식이 있어 자기표현에 주저함이 없으셨다고 한다. 그래서 화면에 대고 직접 의사표시를 하는 경우가 종종 나왔으나, 박인순 할머니의 경우에는 단편적이고 돌출적으로 말씀하시는 스타일이어서 행동과 별도의 나레이션을 준비했단다. 영화에 등장하는 걸음걸이는 기지촌에 살았던 수많은 사람들의 걸음걸이를 함축적으로 보여주려는 의도였다고 하는데, 무리였다고 본다. ^^;; 기지촌을 살아갔던 사람들의 유령같은 모습에는 공감이 같지만서도..

안성자 할머니의 경우에는 "인간극장 - 애니의 사랑"을 통해 이미 방송경험이 있으셨다고 한다. 일방적으로 촬영을 당했던(?) 당시의 기억으로 인해 "거미의 땅"을 진행할 때는 많은 부분에서 상당한 의견을 내셨고, 두 감독이 밀리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고 한다. 영화의 성공에는 세 분 할머니의 기여도 컸다는 걸 두 감독은 굳이 감추지 않는 듯 보였다. ^^;;

박경태 감독은 기지촌 사람들을 미화하는 데에 대한 약간의 우려를 표시했는데, 그냥 담담한 시각으로 봐줬으면 하는 눈치였다. 기지촌 혼혈인들의 경우에는 자신들의 어머니가 외국의 못된 군인들에게 성폭행을 당해 자신을 낳고 어쩔 수 없이 살아가는 가련한 희생자로 간주하려는 암묵적인 시선이 있는데, 그런 부분을 일반인들이 너무 과장해서 해석하지 않기를 바라는 것 같았다. 

기지촌 혼혈인들은 사회에 편입되지 못한 좌절과 부모들에 대한 자기위안적인 추측으로 인해 알콜중독 상태인 경우가 많다고 한다. 새로 알게 된 사실이다. 




"거미의 땅"은 제 13회 야마가타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에 출품되어 특별상을 수상했다.

아래 링크에서 심사위원의 총평을 읽을 수 있다. 

http://ch.yes24.com/Article/View/23493

박경태 감독은 다음 작품으로 미국에서도 존재했던 기지촌(?)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고 언급했다. 특이하게도 한국의 기지촌 형태가 미국으로 옮겨간 경우라 그곳이 어떤지 조명해 보고 싶단다. 개인적으로는 베트남전에 활동한 한국군들로 인해 태어난 혼혈인들에 대해서도 확인해 삼부작으로 완성했으면 싶기도 하다. ^^;; 

WRITTEN BY
리컨
영화를 즐기는 취미를 기록한 블로그입니다.

,





" Bridge Over Troubled Water " 에 대한 괴소문을 기억하시는 분들이 몇 계실 것이다. " 실버 " 가 은빛가루로 마약을 뜻한다는 둥의 해괴하고 진기했던 헛소문이지만, 당시에는 음악을 즐겨듣던 사람들에게 꽤 널리 알려졌었다.  
 
이젠 잊혀진 이 뜬소문에 관한 근거가 될만한 얘기가 이 영화에 등장한다.

1970년대 남아국공화국은 인종차별정책과 억압적인 정권으로 인해 당시 우리나라와 별반 차이가 없었다고 한다. 인종차별에 항의하는 흑인들과 이에 동조하는 백인들을 탄압하기 위해 각종 미디어들에 대한 엄격한 검열이 시행되었고, 라디오방송에서는 틀 수 없는 노래들이 있었다고 한다. 그 중 대표적인 게 비틀즈, 사이먼앤카펑클의  " Bridge Over Troubled Water " 그리고 로드리게즈였단다. 로드리게즈의 노래 가사 중에 " 실버 " 란 단어가 등장하는데, 전직 검열자의 얘기로는 이게 " 마약 " 을 뜻하기에 검열대상이 되었다고 한다. 

당시라면 인터넷, 스마트폰이 없던 시대라 입소문으로 얘기가 퍼졌을 가능성이 높고, 그 와중에 얘기가 섞여 우리나라까지 흘러들었을지도 모르겠다. 그때는 남한이나 북한이나, 남아공이나 해외와의 교류가 극히 제한적이었기에 끼리끼리 연락망이 있었을지도 모르겠다. 그럴싸하지 않은가? 물론 순전히 개인적인 추측이니 너무 깊이 파고들지는 않았으면 한다. ^^;; 
 




세월이 흘러 이런 전설적인 괴소문들을 기억에서조차 사라졌지만, 어느 날 막연히 궁금해지기 시작하고 그리운 시절을 만나고 싶은 이들이 있다면 이 영화를 소개해 주고 싶다. 오래 전 
남아공에서는 엘비스에 버금가는 인기를 누렸고, 단 두 장의 앨범으로 수십년간 수백만장의 앨범이 팔려나갔지만, 정작 본인에 대한 얘기는 하나도 알려지지 않았던 어떤 가수와 팬들에 관한 얘기다. 남아공 정권에서조차 금지시켰던 노래들을 부른 로드리게즈 ( Sixto Rodriguez ) 가 바로 그 인물이다. 
 

로드리게즈_앨범자켓

출처 : 네이버영화







그 흔한 "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입니다 " 라는 멘트조차 없지만.. 


영화계에서는 대개 " 이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입니다 " 라는 문구를 넣을 수 있으면 어느 정도는 광고효과가 있다고 믿는다.

오프닝이나 엔딩에 넣어 감동을 더하거나 여운을 남기려 하는데 반해 " 서칭 포 슈가맨 " 은 그런 말이 없다. 다큐멘타리이기에 그런 홍보성 멘트를 넣을 수 없는 게 당연하고, 모두 사실을 근거로 찍어야 하기 때문이다.

영화의 중반 넘어서까지도 혹시 페이크 다큐멘타리 ( 허구를 실제처럼 찍어놓은 영화 혹은 영화인데 다큐멘타리 형식을 도입한 스타일 ) 가 아닐까 의심했다. 광고문구에 하도 " 놀라운 사실 " 이란 단어를 박아놔서 이미 짐작했던 설정이 " 놀라운 사실 " 일 줄은 미쳐 몰랐다. ㅡㅡ;; 이게 반전일 수도 있겠다. 광고 포스터는 보되, 등장인물 크레딧은 보지 말길 권한다. ^^;; 
 

로드리게즈_사진01

출처 : 네이버영화



캠코더에 찍혀진 그날의 기록영상을 보기 전까지는 스토리가 너무 황당무계해서 믿기 힘들었다.

아무리 폐쇄적인 남아공이었다지만, 설마 1970대에 초판으로만 50만장을 팔았던 " 슈가맨 " 로드리게즈라는 가수가 미국에서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무명가수였고, 그 사실을 몇십년이 지나도록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을 믿을 수 없었다. 게다가 공연 중에 눈부신 조명을 받으며 권총자살로 생을 마감했다는 레전더리(?)한 얘기는 또 어떤가? 반전이 되는 사실이 드러난 뒤에도 실소가 머금어지면서 시큰둥한게 전부였다. 뭐 그런가부다 하는 정도(?).

로드리게즈_사진02

출처 : 네이버 영화



하지만, 어떤 팬이 담은 구형 캠코더의 화질열악한 장면들을 보는 순간, 가슴이 뭉클해진다. 그 노래를 들었던 사람들, 그 노래를 따라 불렀던 사람들의 얼굴 표정들에서, 끊이지 않을 것 같은 함성에서 영화의 흐름이 파도처럼 거대해진다. ( 함성이 너무 커서 감동받기 전에 깜짝 놀랬다. ㅡㅡ;; ) 

아마 이런 스토리가 현실성 있다고 생각해서 소설에 넣는 작가는 아마 없지 않을까 싶다. 그런 말도 안되는 사건이 삭막한 세상에서 실제로 벌어졌던 것이다.  

로드리게즈_사진03

출처 : 네이버 영화





저는 건강한 리뷰문화를 만들기 위한 그린리뷰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사람과 시대에 대한 기억

괜찮은 작품들이 그렇듯 " 서치 포 슈가맨 " 역시 사람에 대한 추억과 지나간 시대를 떠올리고 음미해 볼 수 있게 해준다. 라틴계 이름을 가졌다는 이유로 흥행에 실패했을 것 같다는 음악 관계자의 막연한 추측이나 폐쇄적이었던 케이프타운에 뜬금없이 흘러들어온 한장의 앨범에서 자신들의 탈출구를 발견한 많은 남아공 국민들이나 지금은 떠올려보기도 힘든 사회의 한 모습이다. 

인종차별정책에 반대하는 얘기를 대놓고 하게 되면 3년은 그냥 감옥에서 보내야 되는 국민들이 있었고, 자신의 앨범이 해외에서 수백만장이나 팔렸어도 돈 한푼 받지 못했던 음악가가 있었다. 상식이 통하지 않던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이 수십년을 뛰어 넘어 마침내 인생의 행복과 의미를 찾게 되는 이야기다. 

로드리게즈_사진06

출처 : 네이버 영화







" I Wonder ", " Sugar man ", " Cold Fact " .. 

다큐 속에서 " 로드리게즈 " 의 노래는 곧잘 " 밥 딜런 " 과 비교된다. 남아공에서는 우리나라의 민중가요 쯤 되는 것으로 보이는데, 서정적이고 철학적인 느낌이 좋은데다 독특한 면도 있다. 디지털 버전으로 관람해서인 것 같기도 하지만, 감독이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배려가 다큐멘타리 내내 묻어있다. 

다행이 인터넷에서 노래들을 찾을 수 있지만, 선감상(다큐멘타리) 후 듣으면 편하게 들을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독립영화 " 원스 " 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어 보인다. 말랑말랑한 사랑노래는 아니지만 제법 음악영화같은 느낌도 준다.


로드리게즈_사진07

출처 : 네이버 영화






미국의 영화평론가 로저 에버트는 이 영화에 대해 이렇게 얘기했다.  
...
I hope you're able to see this film.
You deserve to.
And yes, it exists because we need for it to. "

( 나도 한마디 하자면, 해석은 셀프.. ㅋㅋㅋ ^^;; )

영화포스터

출처 : DAUM 영화



" 서칭 포 슈가맨 " 은 각종 영화제에서 수상경력이 많은데, 대부분이 "  Audience Award " 다. 그만큼 여러 지역에서 관객들이 좋아했다는 뜻으로 봐도 좋을 것이다. 심지어 미국의 독립영화제인 썬댄스 영화제에서도  " Audience Award " 를 수상했다. ( 2012년 ) 

영화 후반부가 이 영화의 진짜 재미이자 감동의 도가니
지만, 즐기실 분들이 꽤 계실듯 싶어 생략한다.  


WRITTEN BY
리컨
영화를 즐기는 취미를 기록한 블로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