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위쪽, 이탈리아와 불가리아 사이에 " 보스니아 " 라는 곳이 있다. 그 보스니아에서 오른쪽 아랫동네에 " 고라즈데 " 라는 마을이 있다. 이 만화의 주무대인 이곳은 한때 UN 에 의해 " 안전지대 ( Safe Area ) " 로 선포됐던 곳이라고 한다. 그 " 안전지대 " 라고 불리던 시절에 그곳에서는 인종청소가 자행됐다고 한다. 버젓이.. 

뜨문뜨문 보게된 영화광고나 다큐멘타리를 통해 보스니아에서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만행이 저질러졌다는 건 어렴풋이 알고 있었다. 화면을 통해 제대로 보면 속이 뒤틀릴 듯 해서 일단 미뤄뒀는데, 만화로 볼 기회가 생기니 일단 펼치게 됐다. 

" 팔레스타인 " 쪽 얘기도 갑갑했는데, " 보스니아 " 쪽도 만만치 않았다. 더 심각한 문제는 서로 싸우는 이들이 한때는 한 마을에서 이웃으로 살았다는 점이다. 게다가 너무 복잡하다. ㅡㅡ;; 

어느날부턴가 하나둘씩 세르비아계 사람들이 사라지더니 갑자기 총을 들고 나타났단다. 어릴 적에 막내 아들과 함께 와서 저녁식사를 하곤 했던 동네 청년이 군복을 입고 자신들에게 총질을 하는 모습을 봤다는 어떤 나이지긋한 분의 얘기가 기억난다. 

UN과 미국, NATO 등이 상황파악을 못하고 있는 동안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악화되어 갔다고 한다. 딱히 그들이 필요로 하는 자원이나 실리가 없이 명분만 있는 곳에서는 별다른 기대를 할 수 없는 조직들로 보여진다. 그나마 테이턴 합의안으로 이끌어내 이미 황폐해진 지역을 안정화시킨 건 인정해야겠지만서도.. 

언제나 그렇듯 경제적인 문제가 실제적인 원인이고, 비인간적인 인종주의는 핑계에 불과하며, 제어하지 못하는 정치적인 상황은 그곳에 기름을 부어 전쟁이라는 대참사를 일으킨다. ( 시대적 배경, 민족구성, 사회적 배경에 대해 별다른 사전지식이 없는 관계로 이 정도로 이해되는데, 지은이는 양심의 기록자로써 당시 상황을 분석하기 보다 그런 처참한 시간 속에서 살아남았던 이들의 기억을 우리에게 전해주고 있다. 만화 속 조 사코의 모습에서 많은 감정이입이 생기곤 한다. 

고라즈데_책표지

출처 : DAUM 책



http://en.wikipedia.org/wiki/Joe_Sacco 

이 책에서는 " 코믹 저널리즘 ( Comic Journalism ) 의 선구자 " 라는 소개가 있는데, 아무래도 콩글리쉬가 아닌가 싶다. 

http://en.wikipedia.org/wiki/Comics_journalism 
위키피이다에서 찾은 " 코믹스 저널리즘 "

http://www.kcomics.net/Codic/search_view.asp?scidx=1016  
디지털 만화 규장각 이라는 우리나라 사이트에서 찾은 " 코믹 저널리즘 " 

어쨌거나 간단하게 말하면 만화로 표현한 저널리즘 정도 되는데, 이게 좀 생각해 볼 만 하다. 

저널리즘에는 기본적으로 양심을 향한 호소가 들어있다. ( 그밖에도 많은 것이 들어있지만 ) 그 호소의 방법으로 기사, 사진 등이 주를 이뤘는데, 코믹스 저널리즘은 그 절충안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기사보다는 재밌고, 사진보다는 다양한 표현력을 갖출 수 있다고 보여진다.

저널리즘 기사에는 기자의 신념이나 가치관이 들어있을 수도 있지만, 감상이 들어간다면 좀 가벼워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만화의 형태를 띄고 있다면 왠지 자연스럽게 느껴진다. 게다가 만화는 기본적으로 스토리를 갖추고 있어 전체 이야기를 받아들이는 데 수월하다. ( 물론 만화도 그 장르에 따라 스토리가 없이 설명만을 이루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스토리를 갖추고 있다. ) 

저널리즘 사진은 아주 강렬하지만, 실제 모습 속에서 카메라로 담아내는 것이라 인물과 배경 등이 원하는 대로 배치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사진 기자는 엄청난 기다림 속에서 감이 왔을 때 미친 듯이 찍어내서 훌륭한 작품 하나를 건져내는 것으로 알고 있다. 만화의 형태를 띄게 되면 이보다는 유연하다.

대강 기억해 뒀다가 그들의 생활상을 한군데 모은 후, 인물이나 사건이 보여주는 메인테마를 어느 정도 담아 사실적인 부분과 메시지의 부분을 같이 그려낼 수 있다. 물론 사진보다는 덜 강렬하지만, 스토리를 통해 담아낸 내용들이 머리 속에 쌓이게 되면 어느 정도의 표현력만 있어도 임펙트가 생겨난다. 

게다가 저널리즘 사진에서 담기 어려운 부분들 - 피해자이면서도 별로 동정받기 어려운 사건이나 인물들 - 에 대해서는 우회적으로 비교적 쉽게 표현할 수 있다. 이는 분명 객관적인 시선임을 암시할 수 있어 좋다. 

코믹 저널리즘이라는 표현이나 르포 문학 ( 기록 문학 ) 으로서의 만화라를 표현이 혼동스럽긴 한데, " 고라즈데 " 는 이 두 부분을 모두 담아낸 작품이 아닌가 싶다. 
 

WRITTEN BY
리컨
영화를 즐기는 취미를 기록한 블로그입니다.

,




" 쥐 ", " 페르세폴리스 " 는 르포문학 ( 기록문학 ) 의 만화이고, " 팔레스타인 " 은 코믹 저널리즘 ( Comic Journalism ) 의 만화다. 
전자는 역사적인 사건의 실제 당사자들이 표현한 만화이고, 후자는 제 3 자가 해당 지역 혹은 사건을 바라본 시각을 담고 있다. 전자는 그래서인지 상징성이 두드러지는 반면, " 팔레스타인 " 은 상대적으로 만화적인 재미가 스며있으면서도 객관적인 평가도 덧붙여져 있어 메시지가 어느 정도 정리되어 있는 느낌이다. 


만화의 대부분이 팔레스타인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만나는 과정 속에서 알게 되는 그곳 사정과 사람들에 대한 인터뷰를 담고 있다. 처음에는 인식하지 못했는데, 읽다 보니 이런 부분 때문에 등장인물들의 얼굴을 도드라지게 그린 게 아닌가 싶다. 

안경을 쓴 주인공 ( 조 사코 ) 은 항상 제 3 자의 입장을 일깨우는 멘트로 객관성을 유지하면서도 허술한 듯 허탈한 유머를 구사해 긴장을 적절한 때에 풀어준다. 팔레스타인의 당시 상황이 워낙 심각해 잘 눈에 띄지는 않지만 나름 꽤 웃긴다. 

이란, 이라크, 팔레스타인 등의 중동(?) 지방에 대한 얘기는 접하기 힘들어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 만화가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살펴보면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중심에 놓고 꾸미지도 비하하지도 않았다는 걸 알 수 있다. 그곳에도 힘들게 사는 사람들이 있고,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힘든 폭압적인 정권이 있었다. 

" 영광의 탈출 ( 1960, Exodus ) " 라는 이스라엘 건국 이야기를 다룬 영화가 있다. 어릴 때는 명작처럼 보였지만, 다시 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이스라엘 건국은 영국이 처음 손을 댔고, 미국과 소련이 마무리지어 오늘날의 팔레스타인 사태를 야기했다. 시오니즘은 이런 이스라엘 민족이 자신의 땅에 정착하려는 의지를 뜻한다. 인티파다는 " 각성, 봉기 " 라는 뜻으로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이스라엘에 대항해 벌이는 민중적인 봉기를 뜻한다고 한다. 몇 차례 대규모로 진행됐고, 잠정적으로 계속되고 있는 듯 보인다.  


진지한 만화책들 중에 정말 저널리즘적인 내용이 많이 들어있어 좋다. " 오리엔탈리즘 " 을 주창한 에드워드 사이드가 조 사코에게 보내는 메시지나, 팔레스타인 상황을 1945년부터 2002년까지 시간순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후주는 만화가 보여준 심각성을 더욱 자세하게 알려준다.

최근 조 사코는 "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 비망록 "  을 발표했다. 아직도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이야기는 계속되고 있는 모양이다.   

WRITTEN BY
리컨
영화를 즐기는 취미를 기록한 블로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