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르살루스 전투'에 해당하는 글 1건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서쪽을 완전히 제패한 뒤 카이사르는 마침내 폼페이우스와 그를 따르는 원로원 의원들을 처리하기 위해 그리스로 떠난다. 3권은 카이사르가 내전을 마무리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고, 이집트에서 벌어진 알렉산드리아 전쟁 직전까지 기록되었다.

" 내전기 " 에 유실된 것으로 추정되는 부분이 있다는 걸 알게 됐고, 여전히 시오노 나나미의 " 로마인 이야기 " 에 대한 평가는 낮아지고 있다. 볼품없는 작품이라는 뜻이 아니라 명작계열보다 수작계열로 가까워지고 있다는 게 맞겠다. ^^;;


전쟁을 준비하는 폼페이우스
에피루스 회담
카일리우스의 반란
안토니우스의 시련
마케도니아의 부정들
다라키움 공방전
카이사르의 작전, 실패하다
카이사르, 테살리아로 가다
품페이우스의 추격
최대의 결전, 파르살루스 대전투
폼페이우스의 최후
알렉산드리아, 그리고 클레오파트라

카이사르의내전기
카테고리 시/에세이 > 인물/자전적에세이
지은이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사이, 2005년)
상세보기



로마인들 사이의 전쟁이면서도 당시에는 사실상의 세계대전이었던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의 대결은 일진일퇴 끝에 카이사르의 승리로 마지막을 장식했다. 그동안은 카이사르가 병력수는 작지만 고참병을 주로 거느리고 있었던 반면, 폼페이우스가 카이사르의 두 배에 가까운 병력에 전쟁경험이 부족한 신참들 위주여서 이게 승리의 주요 열쇠였다고 알고 있었는데, 그 못지 않게 중요했던 점을 발견했다. 바로 연습이다. ^^;;

파르살루스 회전 ( 평야 같은 곳에서 군사들끼리 포진해 싸우는 것 ) 을 앞두고 카이사르의 병력은 책의 설명에 따르면 로마 중무장 보병 6개 군단 2만 7천 명과 기병 2천기인데, " 내전기 " 에 따르면 보병이 2만 2천에 기병이 1천기였다. 아마 현지에서 충원한 경무장 보병과 기병들 때문에 수치가 다른 것 같다.

여기서 짚고 싶은 게 바로 이 경무장 보병들과 주요 고참병들을 파르살루스 회전 직전까지 여러 차례 카이사르 자신이 예측한 전투의 진행형태에 맞게 훈련시켰다는 점이다. 적의 기병들을 막기 위해 정예 중의 정예들인 고참병들만 따로 모아 4번째 대열로 별도의 부대를 만든 후, 그 빈자리가 드러나지 않도록 로마 중무장 보병들 사이에 경무장 보병들을 끼워 넣고, 전투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호흡을 맞췄던 것이다.

시오노 나나미나 플루타르크는 이런 점을 별로 드러내지 않았는데, " 내전기 " 를 보니 카이사르와 함께 갈리아에서 전쟁을 치루면서 경험을 쌓았던 2 개 군단이 폼페이우스에게는 고스란히 남아있었기에 단순히 고참병들의 수치때문에 전쟁수행능력이 더 뛰어나서 카이사르가 이겼다고 하기에는 전투결과가 너무 압도적이어서 2퍼센트 부족한 설명으로 보여진다.

카이사르의 핵심 군단들은 9, 10, 11, 12 군단(?) 정도였고, 1개 군단의 정원인 6천명에 훨씬 못 미치는 3천 6백여명(?) 이하가 대부분이었다. 게다가 9 군단은 파르살루스 회전 직전의 전투였던 다라키움 공방전 ( 고지나 진지를 두고 벌인 전투? ) 에서 심각한 병력 감소가 있었기에 2만 2천의 중무장 보병 중 전투경험이 풍부한 고참병의 비율은 높긴 하지만 시오노 나나미가 말한 것처럼 높지는 않았던 것 같다. 아마 8 대 2 정도로 묘사한 것으로 기억되는데, " 내전기 " 에 따르면 6 대 4 정도로 보여진다. 4 정도의 신참비율도 분명 전쟁경험을 갖고 있긴 하지만 많은 정도는 아니고, 그 정도의 전쟁경험은 폼페이우스 측의 로마 중무장 보병들도 가지고 있었다.

카이사르가 압도적으로 폼페이우스 진영을 패퇴시킬 수 있었던 건 현실에 맞는 기발한 발상, 고참병을 활용한 전쟁수행 능력 그리고 부족한 요소를 메꾸는 훈련의 결과였다고 본다. 전투가 벌어지면 너무 역동적인데다 예측하지 못한 상황도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기에 경험은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다.

이런 부족분을 카이사르는 훈련을 통해 메꿔 경무장 보병들이 등을 돌리고 달아나거나 우왕좌왕하지 않고 제 몫을 다하도록 만들었기에 두 배에 가까운 병력차이를 극복할 수 있었다. 카이사르의 고참병들이 폼페이우스의 기병들을 막아도 보병대열이 뚫리거나 밀리면 전투의 결과는 엄청나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적은 수에 고참까지 빠져 나간 자리를 이질적인 경무장 보병들로 채우는 건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그에 반해 폼페이우스 진영은 부족분인 경험을 메꿀 생각보다 압도적인 병력수의 차이만 믿고 논공행상부터 하다가 자멸하고 만 것이다.



WRITTEN BY
리컨
영화를 즐기는 취미를 기록한 블로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