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권을 통해 신들의 이야기가 끝나고, 절대반지의 저주에 휩싸인 게르만 영웅들의 이야기와 성배를 찾는 기독교 계열의 기사이야기들이 등장합니다.
평소 성배와 절대반지를 소재로 한 영화들을 가끔 접했는데, 이 두 아이템이 선의 아이템과 악의 아이템으로 비교해서 볼 수 있다는 게 흥미로웠습니다. 성배는 인디아나존스 3 편에서 나무잔으로 등장했는데, 여기서는 신기한 돌로 그려지고 있습니다. 효과는 역시 죽은 사람도 살리고, 끊임없이 음식도 제공하는 절대 아이템입니다. 절대반지는 상대적으로 열악한 기능을 갖췄지만, 저주만은 아주 지독합니다.
|
이런 신화관련 서적들이 재밌기는 하지만, 등장인물들 중 비슷한 이름이 많고, 각 지역별로 조금씩 다르게 불리기에 헷갈리는 게 짜증나기도 합니다. 지그프리트가 지구르트와 같은 이름이고, 아버지, 할아버지와 같은 이름일 때도 있어 스토리를 제대로 따라가기 어려울 때가 종종 있습니다. 고대인들의 이름은 생각밖으로 어이없을 때가 많은데, 고대 로마인들은 자식들이 많아지면 숫자로 이름을 대신 했는데, 섹스투스가 6번째 자식이라는 뜻이랍니다. 아마도.. ^^;;
서양의 신화이야기들은 시간적으로 혼동스러울 때가 많은데, 기본적으로 현실에 있었던 어떤 사건들을 신화적 인물들의 사건으로 변화시켜 사건의 진위여부보다 담겨진 메시지나 교훈을 남기려 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게다가 저자들이 여러명인 경우가 많고, 한 저자인 경우에도 과거 얘기들을 조합해 만들었기에 실제 인물인지, 실제 사건인지 등을 가늠해 보려는 건 크게 의미가 없어 보입니다.
안인희의 북유럽신화 3권에서는 영웅들의 성장과정에 대한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면서 절대반지의 저주를 받아 파멸해가는 뵐중가문 ( 영웅 지구르트가 속한 가문 ) 과 기우키 가문 ( 영웅 지구르트와 결혼한 구드룬 ) 의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 지구르트와 결혼한 여자 이름이 다른 곳에서는 그림힐트라고 나오기도 하는데, 여기서는 그림힐트가 지구르트의 장모 이름으로 나오네요. ^^;; 제가 헷갈렸을 수도 있습니다. )
게르만 영웅들의 이야기에 뒤이어 성배를 찾는 파르치팔 기사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마치 기독교 서적 " 천로역정 " 같은 분위기입니다. 파르치팔 ( 원탁의 기사 퍼시벌 ), 트리스탄과 이졸데 이야기는 아더왕 이야기를 다룬 " 아발론 연대기 " 에도 나오는데, 스토리는 비슷하지만, 안인희 님의 손을 거쳐서인지 훨씬 이해하기 쉽고 재밌게 서술되어 있습니다.
" 아발론 연대기 " 나 " 안인희의 북유럽 신화 " 를 보면 중세 기독교가 오지랖넓게 간섭한 게 아닌가 싶은데, 가만 생각해 보면 종교든 과학이든 자신의 논리적인 근거가 세상만사에 모두 적용되고 있다는 걸 증명하는 건 숙명이라고 보여진다. 이런 재해석이 납득할 만하면 존재가치가 높아지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독선적인 궤변에 불과해질 것이다.
서양의 신화이야기들은 시간적으로 혼동스러울 때가 많은데, 기본적으로 현실에 있었던 어떤 사건들을 신화적 인물들의 사건으로 변화시켜 사건의 진위여부보다 담겨진 메시지나 교훈을 남기려 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게다가 저자들이 여러명인 경우가 많고, 한 저자인 경우에도 과거 얘기들을 조합해 만들었기에 실제 인물인지, 실제 사건인지 등을 가늠해 보려는 건 크게 의미가 없어 보입니다.
안인희의 북유럽신화 3권에서는 영웅들의 성장과정에 대한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면서 절대반지의 저주를 받아 파멸해가는 뵐중가문 ( 영웅 지구르트가 속한 가문 ) 과 기우키 가문 ( 영웅 지구르트와 결혼한 구드룬 ) 의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 지구르트와 결혼한 여자 이름이 다른 곳에서는 그림힐트라고 나오기도 하는데, 여기서는 그림힐트가 지구르트의 장모 이름으로 나오네요. ^^;; 제가 헷갈렸을 수도 있습니다. )
게르만 영웅들의 이야기에 뒤이어 성배를 찾는 파르치팔 기사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마치 기독교 서적 " 천로역정 " 같은 분위기입니다. 파르치팔 ( 원탁의 기사 퍼시벌 ), 트리스탄과 이졸데 이야기는 아더왕 이야기를 다룬 " 아발론 연대기 " 에도 나오는데, 스토리는 비슷하지만, 안인희 님의 손을 거쳐서인지 훨씬 이해하기 쉽고 재밌게 서술되어 있습니다.
" 아발론 연대기 " 나 " 안인희의 북유럽 신화 " 를 보면 중세 기독교가 오지랖넓게 간섭한 게 아닌가 싶은데, 가만 생각해 보면 종교든 과학이든 자신의 논리적인 근거가 세상만사에 모두 적용되고 있다는 걸 증명하는 건 숙명이라고 보여진다. 이런 재해석이 납득할 만하면 존재가치가 높아지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독선적인 궤변에 불과해질 것이다.
'옮길것모음 >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읽기] 허영만표 만화와 환호하는 군중들 // 만화가에 대한 희미한 초상 (0) | 2012.01.06 |
---|---|
[책읽기] 야구 룰 교과서 ( 선수와 팬을 야구 규칙 완벽 가이드 ) (0) | 2012.01.04 |
[책읽기] 안인희의 북유럽신화 2. (0) | 2011.12.31 |
[책읽기] 126, 팬과 함께 달리다 // SK 야구단도 준비 많이 했었군요. (0) | 2011.12.26 |
[책읽기] 서울대 야구부의 영광 // 꿈과 열정에 관한 추억 (0) | 2011.12.26 |
WRITTEN BY
- 리컨
영화를 즐기는 취미를 기록한 블로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