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오프닝은 배불뚝이 크리스챤 슬레이터(어빙 로젠필드 역)가 호텔 방에서 머리에 가발을 공들여 쓰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그 뒤 같은 호텔 안에 있는 FBI의 도청작업실로 이동한다.

곧이어 에이미 아담스(시드니 프로서 역)가 들어오고 둘은 잠시 눈빛을 교환한다. 이때 두 사람의 눈빛은 감정의 골이 깊은 적대감인지 뭔가를 꾸며놓고 초조해하는 유대감인지 단번에 파악하기 어렵다. 

다시 브래들리 쿠퍼(리치 다마소 역)가 들어와 크리스챤 슬레이터에게 불만을 터뜨리고, 둘은 티격태격하기 시작한다. 브래들리가 크리스챤의 가발을 엉망으로 만들면서 둘의 다툼은 극에 달하고, 에이미가 중간에서 마무리해준다. 사태가 진정된 후, 셋은 나란히 용의자가 있는 방으로 이동한다. 

이 오프닝은 어빙 로젠필드가 얼마나 소박한 사기꾼인지 보여주는 장면이다. 배불뚝이인데다 탈모가 심하게 진행된 중년이지만, 공들여 가발을 쓰는 것으로 만족하고 준비를 마친다. 이에 반해 FBI요원 리치 다마소는 욕구불만에 차 있고, 일을 어그러뜨리는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며, 로젠필드와 가장 대립되는 캐릭터가 될 것임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영화의 가장 중요한 맥락인 어빙과 시드니의 관계는 눈빛만으로 많은 것을 짐작해야 하는 상황이다. 영화의 진행으로 모르고 보는 상황이라 둘의 눈빛이 무엇을 말하는지 확신하기 어려운데다 연이어 등장한 다마소의 진상짓때문에 적당히 오해하기 쉽게 만든다. 

데이비드 O. 러셀 감독은 영화 속 캐릭터에 집중하는 편이라고 하는데, 그의 스타일이라는 걸 보여주는 오프닝이다. 어빙의 뒷모습을 뒤따르는 건 영화의 스토리가 어빙의 입장에서 진행될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주인공 세 명은 시작부터 팽팽한 긴장감을 야기한다. 

하지만, 시작부터 옥의 티를 남발하는 재미도 준다. 실수였을 가능성이 높지만, 영화의 완성도나 유머수준으로 볼 때 의도적인게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들기도 한다. ^^;;

"Some of this actually happend"  (어느 정도는 실화임)

"APRIL 28, 1978
PLAZA HOTEL, NEW YORK" (1978년 4월 28일 뉴욕, 플라자 호텔)

이라고 화면에 띄워주고는 5분 뒤에 CCTV 카메라 위쪽에 찍힌 날짜는  "04-07-78 05:12:43"이다. 1978년 4월 26일로 나온다. ^^;; 

그 뒤의 장면에서도 리치 다마소가 서투르게 일처리를 하는 바람에 어빙 로젠필드가 뒷감당을 하게 된다.  

WRITTEN BY
리컨
영화를 즐기는 취미를 기록한 블로그입니다.

,






소년들이 커가는 얘기를 주제로 한 성장영화들은 대개 모범적인 사람들이 몇 있고, 주인공은 정신적, 육체적 난관들을 겪는 과정에서 그들과 유대를 갖고 세상을 이해해 나가다가 감동적인 깨달음을 얻게 된다. 이런 패턴을 벗어나 사회적인 법과 질서를 필요로 하지 않았던 소년과 그 형제들에 관한 폭력성 짙은 스토리가 펼쳐진다.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라고 소개했지만, 오히려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했다는 게 적절해 보인다. 원작소설인 "The Wettest County in the World" (2008) 을 영화 속 주인공 잭 본듀란의 손자인 맷 본듀란이 썼기 때문이다. 즉, 오래 전 실제 사건을 손자가 소설로 쓴 것이라 전체를 실화로 보기에는 무리가 좀 있다. 그럼에도 볼 만 하다. 




" 로우리스(lawless) " 의 재미는 톰 하디, 피가 넘치는 폭력 그리고 가족주의다. 
 


톰 하디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인기가 급상승 중일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 인셉션 " 에서 꽤 재미있는 배우가 하나 등장했구나 싶었는데, " 배트맨 : 다크라이즈 " 에서 " 베인 " 역을 소화내는 걸 보고 좀 놀랬다. 외모와 달리 귀여운(?) 목소리, 무뚝뚝한 태도에 가끔 재롱 떠는 모습이 매력인 듯 싶은데, " 로우리스 " 에서는 사실상 독무대다. 주인공은 잭 본듀란역인 샤이아 라보프임에도.. 

실제로 톰하디가 처음 캐스팅 됐을 때는 지금보다 역할이 중요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 배트맨 : 다크라이즈 " 가 흥행에 성공하면서 대폭 분량을 늘였다고 한다. 천만다행이 아닐까 싶다.

아쉬운 건 원래 포레스트 본듀란 ( 톰 하디 ) 이 좋아하는 여자역 ( 매기 ) 에 스칼렛 요한슨도 있었으나, 결국 제시카 차스테인이 맡게 됐다고 한다. 후자도 나쁘진 않았지만, 전자였다면 더 좋아졌을 수도 있지 않을까? ^^;; 


" 로우리스(lawless) " 의 폭력은 서부영화의 신고전 " 용서받지 못한 자 " 에서처럼 상당히 현실적(?)이다. 주인공들은 덩치만 커보이는 장총과 조막만한 권총을 쓰고, 차들은 비탈길을 어떻게 다니는지 용하기만 하다. 그에 반해 법을 집행하는 이들의 총은 상대적으로 좋아보인다. 여기서 폭력 - 액션이 아니다. - 은 남자가 맡은 일을 끝낼 줄 안다는 증명의 수단이며, 선혈이 낭자한 곳에서도 꿋꿋이 서 있을 수 있어야 하는 어른들의 세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장치다. 



" 로우리스(lawless) " 는 무법자나 무법을 뜻하는 outlaw, injustice 등등과는 뉘앙스가 좀 다르다. 영화에 등장하는 법은 별 의미가 없다. 악당이 연방법의 집행자라고 해도 법은 유리하게 동작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제목이 " lawless " 인 이유는 가족과 형제에게 필요한 건 법이 아니라 스스로 커가려는 의지라는 걸 보여주려는 게 아닐까 싶다. 소년의 교육을 공공적인 장치 - 법, 사회질서, 공공교육 등등 - 가 아니라 아버지, 형제가 몸소 보여줘야만 배우고 따라갈 수 있는 가족 안에서의 교육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진정한 가족이 되어가는 교육이야말로 오늘날 다시 되새겨 볼 만한 가치가 아닐까 싶다. 마초적 가족주의라 문제가 될 소지가 있긴 해도 너무 평범하고 올바르기만 한 설명은 이제 지겹다. ^^;; 

소년은 폭력을 동경하고, 성공을 꿈꾸면서 실수와 좌절을 겪지만, 아버지같은 형, 말없이 고뇌하는 형의 모습을 보면서 스스로 성장해 간다. 

WRITTEN BY
리컨
영화를 즐기는 취미를 기록한 블로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