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로 기대하지 않았는데 의외로 재밌게 봤다. 영화 자체가 매우 재미있었다기 보다 영화를 보면서 미국영화들의 스토리텔링에 새삼 경탄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미국영화가 상업적이긴 해도 정말 재밌긴 하다.
핸콕은 미국 흑인 스포츠스타에 대한 단상을 최근 유행하는 영웅히어로의 틀거리에 절묘하게 끼워맞춰 새롭게 포장한 영화다. 사실 이런 감상을 적기에는 쉽지 않았는데, 영화를 보고 이런 느낌을 갖은 후에 혼자만의 착각이었나 싶었다. 우리나라 검색결과에서는 비슷한 감상을 찾기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심지어 N 포털에 나온 영화제작팀의 인터뷰영상에서도 이런 의견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 부분이 나를 더욱 좌절시켰다. 결국 찾다가 포기하고 마지막으로 위키피디아를 뒤져보니 나랑 비슷한 관점(?) 가진 문구를 발견했기에 과감하게 기록할 마음을 먹을 수 있었다. 이래서 나는 아직도 웹2.0 이란 단어를 좋아한다. ^^;;
참고로 영어실력이 미천하기 그지없으니 잘못이해했다면 블로거들의 숨겨진 재능들이 정확한 해석으로 고쳐줬으면 한다. 어쨌거나 내 의견은 핸콕이 미국의 흑인스포츠 스타와 연관성이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영화를 보면 그나마 재미있게 감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하고 싶을 뿐이다.
핸콕(필름) - 위키피디아
Critical reaction
...
Stephen Hunter said Smith—and his co-stars—had misunderstood the material in the same manner as Berg. He added that the examination of Smith's character came across at first as
an examination of the societal place of black sporting superstars, such as
Kobe Bryant,
LeBron James and
Shaquille O'Neal—"phenomenally gifted" men who nevertheless were "marginalized", "dehumanized" and exploited as a product.
[31] 이후에는 스포일러성 내용이 들어가므로 아직 영화를 보지 않은 분들은 유념해 줬으면 한다.
영화를 보고난 후, 흑인스포츠스타들과 연관시켜 해석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 핸콕 " 의 특징이 흑인스포츠스타들의 알려진 특성들과 매우 비슷했다.
일단 타고난 자질에 비해 매우 무식하고, 무례한 모습을 가진다. 심지어 짜증날 정도까지 이해할 수 없고, 대중들과 소통이 어렵다. 영화 초반에 이 모습이 두드러지는데, 이때문에 일반 영웅스토리들과 다르게 느껴진다. 이 부분은 영화광고에서는 고독하고 스트레스 받는 영웅이미지로 포장하는 데, 이것 때문에 감상의 핀트가 조금 혼란스럽지 않나 싶다. 어떻게 즐기든 상관은 없지만서도.. ^^;;
또한 핸콕의 움직임이 기존의 영웅캐릭터들과 움직임이 다르다. 볼수록 만화 속의 영웅들보다 현실의 스포츠스타들의 움직임과 비슷하다. 이게 첫번째였다.
핸콕을 도와주는 백인남성의 직업이 PR 이라는 점이 부분에서 흑인스포츠스타와 연관되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굳혀줬다. 왜 하필 미국영화의 주요등장캐릭터인 백인남성의 직업이 PR로 설정했을까 싶었다. 서민들의 입장을 도입해 줄 요량이라면 처음에는 핸콕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보다가 서로 이해하고 동화되는 입장의 캐릭터로 설정해도 됐을텐데, 이 백인남성은 끝까지 모든 걸 담담하게 받아들인다. 그렇다고 여자주인공과의 단순한 연결고리라고 보기에는 비중이 컸다. 결국, 흑인스포츠스타 옆에서 항상 등장하는 이미지메이커들을 떠올려 보면 이 캐릭터(백인남성)를 좀 더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
안티 히어로(악당)의 역할이 매우 미미했다. 그간 내가 미국의 영웅캐릭터들을 좋아했던 이유는 영웅캐릭터들이 자신이 등장하는 도시의 느낌을 닮아있고, 등장하는 악당들의 매력과 카리스마가 주인공 못지 않게 비중있었다는 점이었는데, " 핸콕 " 에서는 이런 부분을 찾아보기 힘들다. 여자주인공(샤를리즈테론)은 결코 안티히어로가 아니다.
영웅캐릭터의 고독, 스트레스를 설득력있게 해석하기에는 뭔가 부족했다. 핸콕은 후반부에는 세상을 구원하는 것이 자신의 사명임을 깨닫긴 하지만, 그게 주인공의 심오한 내적인 갈등과 고귀한 가치를 자극하는 사건들에서라고 보기에는 어렵다. 종종 사람들을 도와주며 스스로 뿌듯해 하기도 하지만, 그게 도움을 주는 행위에서 오는 자긍심이라기보다는 고독한 자신에게 따뜻한 관심을 받을 수 있었기에 행복해 하는 모습에 더 가깝다고 본다. 만화 속 캐릭터들이 관심받기 위해 싸우는 건 아니잖은가?
흑인스포츠스타와 금발의 아름다운 여성과의 관계단연 쇼킹했던 부분은 여자주인공 역시 슈퍼히어로임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나도 이 부분에서는 매우 놀랐고, 갑자기 애기의 갈피를 잡을 수 없었다. 이 충격적인 부분은 단순히 재미적인 요소인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오래 전에 미국사회에서는 흑인스포츠스타가 벼락출세한 후, 금발의 백인여성과 스캔들에 빠지는 일이 흔했던 적이 있었다. 사회적인 문제로 많은 관심이 쏠렸고, 다양한 분석이 쏟아진 적이 있었다. 웃겼던 건 백인남성들의 입장에서는 백인여성에게 남성이 관심을 가지는 건 납득할 수 있었지만, 백인여성이 흑인남성들에게 호감을 갖는 것에는 난감해 했다는 점이다. 둘이 좋아한 건 사실인 것 같긴 한데, 스스로도 납득할 만한 얘기는 차마 하길 싫고, 감춰두기에는 여파가 심하고.. 어쨌거나 이런 현상들은 사회적으로 나름 풍파를 일으켰다. 아마 OJ 심슨도 그런 스타들 중에 하나였을 것이다. 위키피디아에 나온 스포츠스타들의 이름은 비교적 최근의 스타들이지만..
그래서 신화적인 요소가 끼어들어 얘기를 끌어가고 있는 듯 보인다. 흑인남성과 백인여성이 태생부터 한쌍이었으나 가까이 가면 다친다느니 하니 약간 허황된 설정을 도입한 것 같다.(당시에도 이런 얘기가 있었던 듯 하나, 찾아서 확인하는 건 과도한 투자다 싶어 관뒀다. ^^;;) 사실 좀 웃긴다. 만화적인 허황된 틀에 신화적인 얘기를 끼어넣으니 의아할 수 밖에..
흑인스포츠스타들에 대한 따듯한 메시지이런 흑은스포츠스타들에 대한 얘기는 미국에서 하루이틀 벌어진 건 아니라고 알고 있다. 이미 부정할 수는 없지만, 좀 더 바른생활을 하기를 원한다. 만화적인 캐릭터들이 악을 멸하고, 세상을 구원하는 스타일이라면 핸콕은 희망을 주는 캐릭터다. 그래서 핸콕이 감옥에 가도 더디게 세상에 나오게 되는 전개가 약간 납득이 간다. 서민들에게 당장 이런 영웅이 없다고 급한 건 아니지만, 언젠가는 항상 인간승리의 사례는 필요하기 마련이다.
결국, 등장인물들이 대부분 받아들일 수 있는 적당한 결론으로 마무리하면서 흑인스포츠스타들에게 사회적인 역할에 충실해 줄 것을 넌지시 말하고 있다.
끝으로..
영화가 매우 재밌고 잘 만들었다기에는 뭐하지만, 미국영화들의 이야기꾼적인 능력은 정말 뛰어나다. 항상 곰곰이 생각하고, 미국사회를 어느 정도 이해하면 영화를 생각하는 재미에 빠져들게 한다. 그렇다고 그들에게 절대적으로 공감하고, 그들이 항상 우위에 있다고 보는 건 아니다. ( 우리나라에도 강풀같은 만화가가 있다!! ) 하지만, 일정정도의 수준을 유지하는 스토리텔링 기술이 있다는 건 인정해야 하고, 배울 필요가 있다고 본다. ( 어떻게 이런 건드리기 쉽지 않은 얘기를 드러나지 않게 오락영화로 승화시킬 생각을 다 했을까? )
스토리 전개상 적극적으로 머리를 쓰지 않으면 납득하기 힘든 스토리를 머리 안쓰고 즐기는 액션, 오락장르로 표현하는 바람에 약점으로 작용하긴 했는데, 어쨌거나 노력해서 만든 것 같다. 덕분에 오락영화보고 인터넷 검색도 해보고 머리써가며 글도 작성해 봤다. ^^
PS : 궁금한 건 시나리오를 쓴 사람 혹은 감독이 이런 생각도 염두에 뒀다면 왜 홍보내용에 이런 얘기를 어렴풋이나마 띄우지 않았나 궁금하다. 우연의 결과라고 치기에는 흑인스포츠스타들의 행태와 맞아 떨어지는 부분이 너무 많다. 감옥에 간 모습이나 PR 매니저가 시키는 부분을 우스꽝스럽게 따라하는 부분이나 살펴보면 참 비슷한 부분이 많다. 혹시 아직 흑인졸부스타들의 이미지가 강해서 대놓고 얘기하기에는 뻘쭘했나?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