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9년 2월 9일 위암으로 사망하신 일본만화가 데즈카 오사무의 에세이집이다. 1928년 11월 3일 다카라즈카에서 태어난 데즈카 오사무는 " 아톰 " 이라는 만화로 일본 만화의 부흥을 이끌어, 생전에 일본만화의 신으로 추앙받기도 했다. 물론 비판하는 시선이 꽤 있기도 했지만.. 

분량도 얇고, 아이들이나 주변 사람들에게 얘기를 들려주듯 서술해 놓은 터라 크게 편하게 읽었다. 사람, 생명, 자연, 과학에 대한 얘기들이 달리 새로울 것도 없어 별다른 감흥은 느끼지 못했다. " 아톰 " 을 재밌게 보기는 했지만, 데즈카 오사무의 만화를 보며 경탄을 했던 기억이 다른 만화가나 애니메이션 작가들에 비해 덜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아톰은 내가 태어나기도 전에 만들어져서 머리가 어느 정도 굵어질 무렵에 벌써 여러 판본이나 애니메이션 버전이 있어 내가 본 것이 정확하게 어떤 것인지도 판단하기 힘들다. ^^;; 파라오 스타일의 아톰 형 로봇이 나와 육각형 다이아몬드의 모양의 우주전함을 타고 외계인들과 싸우러 가는 장면을 감명깊게 본 기억이 있을 뿐이다. 

그 에피소드의 스토리는 대강 이러했다. 일본에 외계 로봇들이 출몰했는데, 일본 국방력으로 당최 감당이 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었다. 아톰이 나서서 대강 처리하고 나니 대부대가 지구로 진격 중인 걸 알게 돼서 모두 좌절하고 있는데, 평소 일본과 아톰을 괴롭히던 아톰의 형 로봇이 갑자기 튀어나와 전쟁이란 이렇게 하는 것이라며 아톰에게 훈계하듯 말하며 이 외계세력과 거의 함께 자폭하는 것이었다. 형 로봇에게 꽤 매력을 느꼈던 것으로 기억된다. 

항상 전설처럼 들렸지만, 자세한 얘기는 애써 찾지 않았던 일본만화가 데즈카 오사무에 대해 이 책을 통해 알게 된 몇 가지 사실이 있다.

그는 에세이를 썼다. ㅋㅋㅋ ^^;; 찾아보니 이미 몇 편을 써 뒀던 것 같은데, 이게 유작인지는 모르겠다. 

그는 좋은 어머니로부터 용기를 얻었고, 좋은 선생님으로부터 스토리텔링을 배웠다. 왕따 시절과 만화로 이를 극복한 기억을 가지고 있으며, 전쟁경험도 있다. 

아톰은 이미 오래 전에 미국으로 수출된 적이 있는데, 이때 " 아스트로 보이 " 라는 이름을 얻게 됐다. 이유는 미국에서 " 아톰 " 은 방구를 뜻하는 속어로 사용되기도 했기 때문이라는데, 지금도 그런지는 모르겠다. 덕분에 디즈니에서 만든 아톰 애니메이션 역시 " 아스트로 보이 " 라는 황당한(?) 이름으로 개봉됐었다. 당시 이 제목에 불만이 많았다. ^^;; 

1945년 오사카 대학교 의과대학 재학 시절, 17세의 나이에 ' 마짱의 일기장 ' 이라는 4컷 만화로 데뷔했다는 데, 전쟁 중이었기에 가능하지 않았나 싶다. 만 나이로 추측해도 우리나라 나이로 18 혹은 19세일텐데 의대에 재학중이라는 건 좀 무리가 있다. 루머로 데즈카 오사무가 의사출신이라는 얘기를 듣고 놀랬는데, 지금 보니 그 정도까지는 아닌 듯 싶다. ^^;; 

책의 제목인 " 아톰의 슬픔 " 은 " 우주소년 아톰 " 을 과학에 대한 섣부른 환상의 시선으로 이해하는 이들을 위한 조언쯤으로 여겨진다. 데즈카 자신의 자연, 우주, 인간, 과학에 대한 평소 생각을 그대로 밝히면서 아톰을 제대로 이해해줫으면 하는 바램은 느껴진다. 

참과 : 데즈카 오사무가 쓴 또 다른 서적들이 눈에 띈다. 

어머니는나에게하고싶은일을하라고하셨다
카테고리 시/에세이 > 나라별 에세이
지은이 데츠카 오사무 (누림, 2006년)
상세보기

그런데, 이 책이 유난히 " 아톰의 슬픔 " 과 목차에서 비슷한 느낌이 난다. ㅡㅡ;; 

만화가의길
카테고리 시/에세이 > 인물/자전적에세이
지은이 데츠카 오사무 (황금가지, 2002년)
상세보기










WRITTEN BY
리컨
영화를 즐기는 취미를 기록한 블로그입니다.

,
위드블로그 이벤트에 당첨되어 " 아스트로 보이 ( 부제 : 아톰의 귀환 ) " 를 보고 왔습니다. 영화를 보고난 후, 첫 느낌은 " 아톰의 귀환 " 이라는 부제를 붙이기에는 아쉬운 부분이 많다는 점이었습니다.
아스트로 보이 - 아톰의 귀환
감독 데이빗 보워스 (2009 / 홍콩, 일본, 미국)
출연 유승호, 남지현, 조민기, 프레디 하이모어
상세보기

아동용 영화로 목표를 확실히 한 " 아스트로 보이 "

서울극장 7 관에서 관람했는데, 보러 온 사람들은 30 여명 가량의 아이들과 어른 2 ~ 3 명이 전부였습니다. 사실 광고 등을 접해 봤을 때도 이건 아이들용이겠구나 싶었는데, 역시나 아톰을 기억하는 어른들은 이 영화에 대한 기대치가 거의 없는 듯 보였습니다.

아이들용 영화라고 본다면 " 아스트로 보이 " 는 크게 나무랄 데는 없어 보입니다. 내용도 어렵지 않고, 그래픽 수준도 볼만하고, 아기자기한 내용에 어린 아이들이 경험할 법한 에피소드들로 채워져 있어 영화가 끝난 후에 나오면서 몇몇 아이들이 들떠 있는 모습도 볼 수 있었습니다.

아스트로 보이 포스터 2

아스트로 보이 포스터 2 출처 : 아스트로 보이 한국 홈페이지. http://www.astroboy2009.co.kr/



평범한 재미,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줄 수 있는 적당한 애니메이션라고 생각됩니다. 이게 " 아톰의 귀환 " 이라는 부제만 붙지 않았어도..


하지만, " 아톰 " 과 " 아스트로 보이 " 는 분명히 달랐습니다.

어린 시절 " 아톰 " 을 기억하는 저로서는 이미 머리 속에 그려져 있는 아톰의 이미지로 인해 영화에 몰입하기 힘들었습니다. 아톰의 그래픽은 훨씬 세련되지고, 더 기계화(?) 됐습니다. 하지만 아톰 안에 있던 인간에 대한 성찰은 대부분 우주 어디론가 사라져 버렸나 봅니다. 그래서 아스트로 보이가 아닐까 싶기도 하고.. 쿨럭. 음.. ^^;;
2009 년 아스트로보이 포스터

출처 : 다음 영화

2003 년 아톰 포스터

출처 : 다음 영화



" 아스트로 보이 " 가 " 아톰 " 에게서 이어 받은 것이라곤 겉모양과 몇 가지 아이들에게 교훈적인 내용 뿐입니다. 아버지와 아들, 외톨이와 친구, 서툰 계급의식, 그리고 작위적인 사명의식 등을 보여주려 하긴 했지만, 제 머리 속의 아톰의 이미지에 비하면 새발의 피 수준이었습니다.

" 아톰 " 은 아동용 소재의 가족, 친구, 우정, 차별, 반전 외에도 고차원적인 다양한 주제의식으로 발전할 수 있는 심도있는 주제도 꽤 있었습니다만 " 아스트로 보이 " 는 이를 철저하게 배제시켰습니다. 게다가 곳곳에 들어간 미국식 유머는 웃기긴 하지만, 아톰을 떠올리면서 보기에는 엇박자였습니다. 더구나 더빙판 영화에서 " 아톰 " 이란 말은 한번도 등장한 적이 없었습니다. 도대체 " 아톰의 귀환 " 이라는 부제는 왜 붙였는지 이해할 수 없다는.. --;; 영어 제목도 그냥 " Astro Boy " 같던데요...

그냥 " 아스트로 보이 " 라고 하고 미국에서 아톰을 모티브로 만들었다고 하면 실망이라도 덜 했을 듯 합니다. --;; 그럼 아동용 영화로서나마 좀 나은 평가를 받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아버지와 아들..

그나마 어릴 적 아톰을 많이 닮은 부분은 텐마 박사와 아들 토비, 아스트로 보이 사이의 미묘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꽤 의도적으로 살린 듯한 이 관계는 미국에서는 입양아들이 많이 있는 관계로 그들에게 어필하는 부분이 있기에 나름 중요하게 다뤄진 것 같습니다.

아스트로 보이 스틸컷

좌측 : 코주부 박스, 우측 : 텐마 박사. 출처 : 다음 영화


텐마 박사는 아끼던 아들 토비가 자신의 실험 도중 사고로 죽습니다. 그 아픈 마음을 달래기 위해 최첨단 로봇을 만들고 " 토비 " 라고 부르지만, 곧 후회합니다. 이런 텐마 박사로 인해 로봇 " 토비 " 는 집을 떠나게 되고 새로운 친구들을 만나고 우여곡절을 겪게 됩니다. 다시 마주치게 된 텐마 박사는 마침내 " 아스트로 " 라는 새 이름을 가진 로봇 " 토비 " 를 아들로 인정하고 받아들입니다.

이 전개는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에서 흔히 벌어지는 갈등을 그럭저럭 묘사했다고 봅니다. 아버지의 기대치와 다른 아들, 입양아로서 뭔가 어긋나는 부분들이 화해되는 과정은 전형적인 미국식의 가족중심주의와 맞는 부분이 있어 대폭 받아들인 부분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냥 " 아스트로 보이 " 였다면..

아스트로 보이 스틸컷

출처 : 다음 영화

아스트로 보이 스틸컷

출처 : 다음 영화



훨씬 편하게 어릴 적 동심을 살리면서 즐길 수 있었다고 봅니다. 아톰이 아닌 다른 미국스타일의 소년 로봇 애니메이션으로 말이죠.

유머도 나쁘지 않았고, 영화 흐름도 어설픈 부분이 있긴 하지만, 아이들이 울고 웃고 떠들기에 딱 좋은 흐름으로 적당히 구성되어 있습니다. 마지막의 늘어짐이 좀 아쉽긴 하지만, 권선징악 ( 느닷없긴 하지만.. ) 도 분명하고, 화해도 다 이뤄냅니다. 교육적이죠.

부모님들이 아이들을 데리고 나와 영화를 보는 문화가 조금씩 정착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크게 나쁘지는 않은 영화였습니다. 다만 영화광고에서 아무데나 갖다 붙이기 식의 홍보로 인해 눈쌀이 찌푸려지는 것도 사실입니다. 이 영화는 아무리 봐도 " 아톰의 귀환 " 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사족 : 영화에서 기억에 남는 대사가 2 개 있었습니다. 하나는 아스트로 보이가 악당 괴물 로봇이 된 총리에게 내뱉는 " 난 다른 사람한테 투표할껀데 " 라는 대사와 아스트로 보이가 마지막에 뜬금없이 나타난 괴물을 향해 달려가며 텐마 박사에게 말하는 " 이게 제 운명인걸요 " 하는 부분이었습니다.
여기 나온 총리는 정치인 한명을 떠올리게 하더군요. 완전 개인적인 욕심을을 위해서는 무대뽀인 짜증 만땅의 캐릭터였습니다.
아스트로 보이의 운명은 여기까지였으면 좋겠습니다. 또다시 아톰의 부활 이라는 둥의 부제를 달고 후속작들이 나온다면 왕짜증일 듯 싶습니다. ㅋㅋㅋ

사족 : 우리나라 더빙은 아직도 여전히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전문 성우 키우기에 좀더 힘쓸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WRITTEN BY
리컨
영화를 즐기는 취미를 기록한 블로그입니다.

,